태영호, 제주4.3 추념일에도 색깔론 고수..."내가 뭘 사과해야 되나?"
상태바
태영호, 제주4.3 추념일에도 색깔론 고수..."내가 뭘 사과해야 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월3일은 남로당의 관공서 습격일" 주장...'김일성 지시설'은 침묵
3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에서 발언하는 태영호 의원. ⓒ헤드라인제주
3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에서 발언하는 태영호 의원. <사진=국민의힘>

'제주4.3 김일성 지시설'이라는 색깔론으로 논란을 일으킨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위원이 4.3추념일 당일인 3일에도 "사과를 한다면 무엇을 사과해야 할지 명백히 규명돼야 한다"며 사과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제주4.3특별법에 담긴 정신과 역사를 편향적으로 해석하며, 여전히 색깔론을 고수했다. 

태 의원은 이날 오전 국민의힘 최고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제주4.3 관련 자신의 발언을 사과할 의향이 없는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자리에서 태 의원은 '제주4.3'이라는 용어에 대한 공격을 이어가면서도, "제주4·3사건은 명백히 북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촉발된 것"이라는 최초 발언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태 의원은 "저는 어떤 점에서 사과해야 하는지 아직까지 저는 납득이 되지 않는다"라며 "지난번에 (제주도에)가서 한 발언도, 제주도민들에게 용서를 빌었던 제가 그분들에 대해서 어떤 특정인들에 대해서 조롱한 일은 한번도 없었다. 그분들의 아픔을 치유하고자 한 발언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저는 4.3사건이라는 용어부터 동의할 수 없다"며 "일정한 날짜를 붙이고, 거기다가 '사건'이라고 부를때에는 그 날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에 대해 초점을 집중해야 하는데, 1948년 4월3일에 어떤 일이 일어났느냐에 초점을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4월 3일에 일어난 일은 결국은 남로당 제주도당의 당 결정"이라며 "이 결정에 의해서 12개의 경찰서와 관공서에 대한 무장 공격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다만 태 의원은 "여기에서 국가 권력에 의해서 또 일부 극우단체들에 의해서 무고하게 정말 많은 사람들이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됐다"며 "그분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명예를 회복하고 또 국가적으로 그분들을 위해서 어떤 일이 해야 한다면, 그러면 이제라도 우리가 그런 일들을 찾아내서 여야가 힘을 합쳐서 저는 해야 한다 저는 이렇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태 의원은 "제가 사과해야 한다면 무엇을 사과해야 되는지가 먼저 규명돼야 한다"며 "무턱되고 사과한다? 저는 사과를 하려면 '왜 사과해야 할지', '어떤 점에 대해서 사과해야 할지' 이 점을 명백히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1948년 4월 3일날 일어난 사건은, 전후 맥락을 보면 당시 5월 10일 대한민국에서의 단서를 무조건 파탄시키라는 소련공산당의 지시와 이 지시를 받아서 김일성이 남로당 박헌영에게 전달했고, 당시 박헌영은 평양에 있었다"라고 말했다.

태 의원은 거듭 "그렇게 돼서 제주도뿐만 아니라 당시 남한 전역에서 5.10선거를 파탄시키기 위한 남로당의 활동이 있었다"라며 "큰 맥락에서 보고 여기에 따라서 제주도당도 이런 결정을 내렸고, 이런 역사의 진실은 저는 부인하면 안 된다. 단 이러한 것을 빌미로 국가 권력이 과도하게 진압하는 과정에 정말 많은 제주도민들이 억울하게도 안타깝게도 희생됐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이 문제와 4월 3일에 일어났던 이 문제는 저는 구분해서 해야 하고, 국가가 잘못한 일 국가가 응당 이제라도 해야 할 책무 이거는 저는 더 다른 일이라고 저는 생각한다"며 "제 발언의 취지에 대해서 과연 유족들과 피해자 단체에 대해서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도 저는 궁금하다"라고 되물었다.

이어 "앞으로 그분들과 이야기해서 내 발언의 취지와 전후 맥락에 대해서 저는 구체적으로 다 설명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태 의원은 이날 최고위 회의에서 "4·3 사건은 남로당의 무장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남로당과 아무런 관계가 없던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를 낸 현대사의 비극"이라며 "남북분단, 좌우이념 무력 충돌 과정에서 억울한 희생을 당한 분들의 넋을 기리고, 명예를 회복시키며, 희생자분들과 유가족들의 아픔을 치유할 때라고 생각한다. 저도 여기에 힘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태 의원은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의 내용 및 제주4.3특별법의 정신을 여전히 부정하며 색깔론을 고수해 제주사회 거센 비판이 일고 있다. 추념일인 3일 제주도내 거리 곳곳에서는 4.3 망언을 한 태 의원에 대한 사퇴 요구 현수막들이 내걸렸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