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예비후보는 "지난해 7월 원희룡 도정의 쓰레기 요일별 배출정책이 전면 실시되면서 도민들은 극심한 불편과 혼란을 겪었다"면서 "시범실시 기간을 거쳐 보완책을 마련했다지만, 8개월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도민의 불편은 해소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쓰레기 요일별 배출제는 성장 관리를 잘못한 도정이 그 책임을 도민에게 전가하는 대표적인 사례"라면서 "'시민들이 엄살 부린다'는 제주시장의 발언처럼, '불편해야 쓰레기가 줄어든다'는 논리를 내세워 도민을 일방적으로 계몽하고 교육하려 했다. 이는 도민중심이 아니라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최근 몇년간 제주는 미증유의 격변기라 할 만큼 대내외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면서 "원 도정은 도민 인구 증가에 대한 대비에 손을 놓고 구경만 하고 있었고, 그 결과 쓰레기, 상.하수도, 교통 문제로 도민의 삶의 질은 최악의 상태로 떨어졌다"고 성토했다.
김 예비후보는 "지난 2005년 전국 처음으로 도입한 클린하우스가 도내 2600여개 설치돼 있고, 그 결과 쓰레기 발생량이 이전보다 줄어들었다"면서 "그러나 2010년 이후 인구가 급증해 쓰레기 발생량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고, 이번 쓰레기 요일별 배출제로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겠다는 도민의 의지는 완전히 꺾여버렸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도는 (요일제)시범실시 일주일만에 쓰레기량이 20% 줄었다며 자화자찬 했지만, 지금도 재활용품 쓰레기는 도민 각 가정에 쌓여있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클린하우스 시설은 기본적으로 분리배출 시스템으로, 인구증가로 인해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해 클린하우스가 차고 넘친게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며 "시스템은 마련돼 있는데 쓰레기량을 감당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감당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보완하면 해결될 문제"라고 진단했다.

이어 "먼저 현재의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를 전면 폐지할 것"이라며 "재활용품을 포함한 모든 쓰레기를 도민이 원하는 시간에 배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공공일자리 예산을 활용해 재활용품 처리 공공도우미를 지역과 조건에 맞게 확대하겠다"면서 "이로써 도민편의, 청결한 환경, 일자리 창출 등 삼중 효과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또 "쓰레기 수거 횟수를 포함한 현재의 수거시스템을 지역별.계절별 특성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용해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면서 "쓰레기 감량정책을 더욱 강화해 마을.아파트.동네.기업 등에서 쓰레기를 감량하면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생활용품 나눔 장터를 공공과 민간이 함께 대대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예비후보는 "저는 행정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여놓고, 안 지키면 책임을 묻겠다고 엄포를 놓지 않겠다"면서 "도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도민에게 보다 나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행정이 해야 할 일이다. 이런 제주도정을 만들어 내겠다"고 밝혔다.<헤드라인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