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 여행객 불편신고센터 개소...'관광 대혁신' 본격 시동
상태바
제주관광 여행객 불편신고센터 개소...'관광 대혁신' 본격 시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행객 불편사항 '원스톱' 통합적 접수 처리
온라인으로도 접수..."새로운 여행문화, 만족도 제고"
15일 열린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 개소식. ⓒ헤드라인제주
15일 열린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 개소식. ⓒ헤드라인제주

제주관광의 대혁신의 시작을 선언한 제주특별자치도가 여행객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불편사항을 실시간으로 접수해 바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본격 가동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5일 오전 제주종합비즈니스센터 3층에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를 개소하고 제주관광의 질적 향상에 시동을 걸었다.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는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가 운영을 맡아 여행객들의 불편사항을 원스톱으로 접수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불편신고센터는 '제주관광 대혁신’의 핵심 사업으로, 분산돼 있던 여행객 소통창구를 일원화하는데 주력했다. 특히 ‘현장 신속대응팀’을 도입해 여행객의 요구사항을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췄다.

그동안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은 제주도 누리집(홈페이지), 120 만덕콜센터, 제주관광정보센터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불편사항을 제기해왔고, 이로 인해 민원 처리의 일관성과 효율성 제고에 제약이 있었다.

새롭게 문을 연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단일 창구를 통해 모든 관광 관련 민원을 통합적으로 접수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15일 열린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 개소식. ⓒ헤드라인제주
15일 열린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 개소식. ⓒ헤드라인제주
15일 열린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 개소식. ⓒ헤드라인제주
15일 열린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 개소식. ⓒ헤드라인제주

이제 여행객들은 전용 전화(1533-0082)나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간편하게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게 됐다. 민원 제기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여행객들의 목소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온라인으로는 관광협회 누리집과 큐알(QR) 코드를 통해 불편사항을 접수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으로는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가 위탁 운영하는 관광안내소(제주국제공항, 연안여객터미널, 국제여객터미널, 성산항)를 통해서도 접수가 가능하다.

제주도는 관광불편신고센터 운영과 함께 관광업체의 자정 노력도 독려할 계획이다.

이날 개소식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 강동훈 관광협회장, 고승철 제주관광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개소식과 함께 관광협회 회원 200여 명이 ‘제주와의 약속’ 자정 결의대회가 열렸다. 제주국제공항에서 관광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 캠페인도 펼쳐졌다.
 
오영훈 지사는 “‘여행문화를 선도하는 제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며 “제주의 가치를 온전히 느낄 수 있는 여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공정한 가격, 향상된 서비스 품질 제공에 힘쓰면서 여행객과 지역주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제주관광 대혁신’ 실행계획을 통해 여행객들에게 더욱 매력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목적지로 거듭나는 한편,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나갈 방침이다.

함덕해수욕장을 찾은 오영훈 제주도지사. ⓒ헤드라인제주
함덕해수욕장을 살펴보고 있는 오영훈 제주도지사. ⓒ헤드라인제주
함덕해수욕장을 찾은 오영훈 제주도지사. ⓒ헤드라인제주
함덕해수욕장에서 주민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는 오영훈 제주도지사. ⓒ헤드라인제주

한편, 제주도는 개소식에 이어 여름 휴가철을 맞아 여행객들이 즐겨찾는 함덕 해수욕장에서 마을주민들과 소통하고 현장 안전요원들을 격려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간담회에는 이승택 함덕리장, 이대근 청년회장 등 지역주민들이 함께하며, 오영훈 지사는 여행객 안전관리와 제주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 도민적 노력을 당부하고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경청했다.

오후에는 ‘제주관광 이미지 리브랜딩 전담팀(TF)’이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관광교류국장이 총괄하는 전담팀은 제주관광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의 실효성 확보와 신뢰도 회복을 목표로 하며, 관광현장의 이슈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첫 회의에서는 구성 취지, 배경과 운영방안, 협조 요청사항 등을 공유하고, 이날 현장에서 파악한 사항과 지역주민들의 의견에 대해 논의했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6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일본으로 여행가라 2024-07-16 11:02:19 | 220.***.***.2
관광 부조리.
ㅡ협회 신고센타에 신고하면 도로묵..
도청에 신고하면 조금 시정된다

도민 2024-07-16 08:52:37 | 220.***.***.2
제주는.바가지 천굿.물가1위
심지어.
안전요원이 해수욕장에서 익사사고 난다
제발 제주여행은 하지말고
안전한 일본.동남아로 여행가라

일본으로 여행가라 2024-07-15 21:11:34 | 220.***.***.2
제주에 관광객이 안오니까.
제주가 행복하지요..
...육지 투기꾼들만 피해보지요.
잘 샹각해보세요...
...육지에서 온사람이 바가지 씌우는 상인들이고
토종 제주인 불편하고..죽을맛이다

똥 치워라 2024-07-15 19:34:03 | 222.***.***.117
크루즈가 제주에 정착하는 8시간동안 중국인들이 배설한 똥 25차 나온다
똥 처리장에서 똥 수입하여 , 똥 처리 하나 바다로 유입,갈치들은
똥을 먹고 자라나고, 그런 갈치를 잡아서 맛있게 먹는다ㅋㅋㅋ

제주바당엔 핵 오염수,성산 땅엔 똥물이 넘친다
중국인,제주관광객 ,연간.천4백만명 관광객 입도하여도
클린하우스,.동부.도두 하수처리장이 넘치고.
쓰레기.렌트카.교통도 마비라는 사실.(((성상땅 투기꾼들만 부정한다)))

2공항 개항하면 4천5백만명 입도합니다
ㅡ지금보다 3배 제주입도하면 어떻한일이 벌어지는 제주 미래가 보인다.
ㅡ관광객,중국인 똥싸면,제주도민은 먹고샬려고 똥 치운다


도민 2024-07-15 12:06:56 | 218.***.***.224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다시찾고 싶은 제주도 꼭 만들어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