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부터 이산화탄소 하루 평균 농도를 제공하고 있는 기상청이 발표한 '2014년 한반도 온실가스 농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산화탄소의 최근 10년간 연평균 농도 증가율은 2.09 ppm/yr(0.5%)로 꾸준히 상승했고, 염화불화탄소류의 농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ppm은 어떤 양이 전체의 100만분의 몇을 차지하는가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위다.
이산화탄소의 2014년 연평균 농도는 △안면도 404.8 ppm △제주도 고산 404.2 ppm △울릉도 403.1 ppm △독도 403.3 ppm으로 관측됐다.
국지오염원이 적은 청정지역인 울릉도와 독도는 비슷한 위도대인 안면도보다 약 1.7 ppm 더 낮았다.
최근 10년(2005∼2014년) 동안 안면도의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 증가율은 2.09 ppm/yr로 지구평균 농도(2004∼2013년)의 증가율인 2.07 ppm/yr와 비슷했다.
안면도에서 관측된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지난해보다 2.4 ppm 증가했으며, 미국 마우나로아(Mauna Loa)에 비해 연평균농도는 약 6.3 ppm 정도 높았고 월평균 농도의 변동폭도 6.7 ppm 정도 더 컸다.
안면도는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 지역급 관측소로, 미국 마우나로아는 지구급 관측소로 등록되어 있음. 지구대기감시 지역급 관측소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청정지역에 위치한 지구급 관측소의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육불화황(SF₆)은 2014년 연평균 농도가 9.0 ppt로 전년보다 0.4 ppt(4.4%) 증가했으며, 연평균 농도 증가율은 0.3 ppt/yr로 다른 지구급 관측소와 비슷하나, 연평균 농도가 0.4~0.5 ppt 정도 높았다.
기상청은 한반도의 온실가스 농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이산화탄소 하루 평균 농도를 기후변화정보센터 누리집(www.climate.go.kr)을 통해 3월부터 준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헤드라인제주>
<원성심 기자 / 저작권자 ⓒ 헤드라인제주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