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31일 도청 탐라홀에서 열린 4월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하계 항공스케줄 적용을 계기로 제주 관광의 체질 개선과 혁신을 당부했다.
이 자리에서 오 지사는 "30일부터 하계 항공스케줄이 적용됐으며, 이번 주가 관광객 증가 전환의 중요한 갈림길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항공사와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이 실제 관광객 증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 지사는 제주관광의 ‘고비용’ 이미지 개선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오 지사는 "제주관광이 비싸다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해보니, 갈치구이가 대표적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며 "1인당 7만 원에서 10만원까지 형성된 가격 체계는 1회전 객단가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격은 낮추고 회전율은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가격 정책만의 문제가 아니라 관광객의 부담을 줄이고 음식 낭비도 막는 친환경적 접근이자, 제주 관광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라고 설명했다.
또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가 준비하는 다양한 관광 진흥 정책과 인센티브도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관광객 회복을 위해서는 국민들의 불안 심리 해소가 시급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오 지사는 "헌정 질서를 빨리 되찾는 것이 중요하다. 아무리 경제 부흥 정책을 펼친다 해도 국민의 불안 심리를 잠재우지 못하면 관광객 증가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며 "헌법재판소에서 하루속히 탄핵이 인용돼야 제주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오 지사는 ‘일론 머스크 플랜 3’ 책을 소개하며 제주의 혁신 방향과 미래 비전도 제시했다.
오 지사는 "테슬라는 자동차산업을 제조업이 아니라 정보통신(IT) 서비스업으로 봤다"며 "제조업은 완벽한 완성차를 공급해야 하지만, 정보통신서비스업은 작은 문제는 발생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수시로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패를 감내할 수 있어 행동이 빠른 것이 테슬라의 강점"이라며 "제주 공직자들도 완벽주의에서 벗어나 함께 협업하며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테슬라가 2006년 전기차 대중화, 2016년 미래 모빌리티 시장 개척, 2023년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반 사회 구축까지 장기적이고 단계적인 비전을 제시하며 성장했다"면서 "제주도도 기존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시각, 완벽주의보다는 실행과 개선, 협업을 통한 혁신을 이뤄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제1회 제주도 장애인체육대회 및 제59회 도민체육대회 개최 준비상황, 2025 제1회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 계획, 도민안전보험 확대 등을 공유했다.
오 지사는 제1회 장애인체육대회와 관련해 "어떠한 차별도 없이 도내 모든 구성원이 정책 수혜 대상자가 되고, 한 분 한 분의 삶이 빛나야 한다는 정책 기조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추경은 민생경제 회복의 지렛대 역할을 하는 중요한 추경으로, 재원 부족에도 불구하고 탐나는 전과 관련된 소비 촉진과 청년 일자리 창출 등 핵심 사업들이 망라돼 있다"며 도의회와의 협조를 통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노력해줄 것을 주문했다.
이외에도 성공적인 4·3추념식 진행을 위한 협력체계 준비, 도민안전보험과 국민취업지원제도 홍보 강화 등을 당부했다. <헤드라인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