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사각지대 발굴의 한계 극복, "똑!똑!똑!, 답장 주세요"
상태바
복지 사각지대 발굴의 한계 극복, "똑!똑!똑!, 답장 주세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고정애 / 제주시 일도2동주민센터 
고정애 / 제주시 일도2동주민센터 
고정애 / 제주시 일도2동주민센터 

제주시 일도2동주민센터에서는 현재 제5차 복지 사각지대 발굴 조사를 진행 중이다. 1차부터 4차까지 총 508건의 대상자를 조사하고 654건의 공적·민간 서비스를 연계했음에도 여전히 복지 혜택에서 제외된 주민들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응답률 저조가 복지 사각지대 발굴의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응답률 저조의 주요 원인은 정보 접근성 부족, 심리적 장벽, 제한된 소통 방식이다. 고령자나 비문해자 등의 경우 복지 신청을 망설이거나 낙인과 제도의 복잡성 때문에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편물이나 전화 안내가 광고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복지 담당 공무원들은 대상자에게 접촉하기 어려운 상황에 자주 직면한다.

공무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복지사각지대에 처한 주민들과 소통을 시도하지만, 대상자가 부재하거나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복지담당자들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며, 발굴 과정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최근 여인숙 거주자의 연락 두절 사례도 복지담당자들에게 심리적 압박감을 주었으나, 무사함을 확인한 후 안도할 수 있었다.

복지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민 응답률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항상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지역 방송,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홍보와 직접 방문을 통한 복지 확인 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맞춤형 정보 제공과 심리적 부담 완화 캠페인도 중요하다. 그러나 인력 부족과 행정 정원의 한계로 인해 이러한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복지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서는 복지담당자들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줄 행정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또한,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어려운 이웃에 관심을 가지고 "똑!똑!똑!”문을 두드려 주시고, 언제든 주민센터로 신고해 주시면 복지사각지대 발굴의 한계를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 <고정애 / 제주시 일도2동주민센터>

*이 글은 헤드라인제주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