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건강과 미래를 위협하는 침묵의 재앙
상태바
우리의 건강과 미래를 위협하는 침묵의 재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고예인 / 대학생(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제주대 행정학과 2학년
고예인 / 대학생(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심각해지는 공기 질, 지속 가능한 대책과 관심이 절실하다

대기오염은 우리의 삶과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만, 그에 대한 경각심은 여전히 부족하다. 뿌연 하늘과 텁텁한 공기가 일상이 되었고,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 소식은 일상적인 뉴스에 묻히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한 채 우리는 하루하루 바쁜 일상에 묻혀 살아간다. 하지만 대기오염은 단순히 현재의 불편을 넘어 미래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이다. 기후변화와 깊이 연결된 대기오염은 폭염, 폭우와 같은 이상 기후로 이미 우리 삶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대기오염의 대표적 문제로 꼽힌다. 초미세먼지(PM-2.5)는 1군 발암물질로 암과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며, 생태계에까지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제주도 역시 이러한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다. 2021년 기준 제주도의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1248톤으로 전년 대비 48톤 증가했으며, 미세먼지 배출량 역시 2890톤으로 2020년에 비해 151톤 증가했다. 이는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제주도조차 대기오염 문제에서 예외가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전국적으로도 대기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다. 2023년 수도권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서울 38㎍/㎥, 경기와 인천 41㎍/㎥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이는 경제활동 재개와 교통량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엘니뇨로 인한 대기 정체와 국외 오염물질 유입이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2016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를 보였다는 점은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대기오염은 단순히 환경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의 건강과 생존, 미래 세대의 삶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위협입니다.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이 필수적입니다. 정부 차원의 강력한 환경 정책과 규제가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확대하며, 산업 및 교통 부문에서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혁신적인 대책이 요구됩니다. 동시에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기질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청정 지역으로 알려진 제주도에서도 증가하는 초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적 원인 분석과 해결 방안을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며, 폐기물 재활용을 생활화하는 작은 행동들은 모두 대기오염 저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환경에 대한 관심과 학습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이를 주변에 알리는 것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기오염은 모든 생명체의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은 우리의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고예인 / 대학생(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 글은 헤드라인제주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