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3일 거행...제주섬 '진혼곡'
상태바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3일 거행...제주섬 '진혼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일 오전 제주4.3평화공원서 엄수...유족 등 대거 운집
오전 10시 묵념 사이렌...'4.3기록물 세계유산 등재' 한 목소리

제77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식이 3일 오전 10시 제주 4.3평화공원 위령제단·추념광장에서 거행된다.

이날 추념식에는 유족과 도민 1만여명이 운집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각 정당 지도부 등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추념식은 식전행사와 본 행사로 나눠 진행된다.

식전행사로 기독교, 불교, 천주교, 원불교 등 종교의례가 진행된 후, 4.3평화합차안의 '잠들지 않는 남도' 등의 합창이 이어진다. 도립무용단에서는 진혼무를 펼친다.

이어 오전 10시 정각, 제주도 전역에 1분간 추모 묵념 사이렌이 울려펴지면 추념식 본 행사가 시작된다.

다만 추념식장에서는 사이렌 대신 '평화의 종' 소리가 울려펴진다.

평화의 종의 모양은 정통 범종형태로 3D 기법으로 구현할 예정으로, 제주 4·3이 진행된 기간 7년과 해원의 의미를 담아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 김광수 제주도교육감, 김창범 4.3유족회장, 유족어린이, 유족의 딸, 경우회장 등 7명이 함께 당목을 잡고 7회 타종한다.

본행사는 △묵념 △헌화 및 분향 △애국가 제창 △제주4.3 경과보고 △추념사 △추모영상 △우원식 국회의장과 오영훈 지사, 김창범 제주4.3유족회장의 인사말 △평화의 시 낭송 △유족사연 소개 △추모공연 순으로 진행된다.

애국가는 벨라어린이합창단이 선창한다. 경과보고는 홍춘호 4.3문화해설사와 함께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제작된 '제주4.3 기록된 흔적들' 영상으로 보여준다. 
 
유족사연에서는 제주공항 집단학살 매장지에서 발굴된 희생자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지난 2월 아버지(고 김희숙) 유해를 찾은 아들 김광익씨와 손자 김경현씨 3대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림면 저지리 출신 고 김희숙 희쟁자는 1950년 6‧25전쟁 발발 후 예비검속으로 희생돼 섯알오름에서 희생당한 것으로 추정돼 왔는데, 유해가 제주공항에서 발견됐다.
 
추모 공연은 가수 양희은과 벨라어린이집합창단의 무대로 꾸며진다. '애기동백꽃의 노래'와 '상록수' 등의 추모곡을 부를 예정이다. 
 
올해 제주4.3 추념일에 즈음해서는 4.3의 당면 과제인 제주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및 집단학살에 대한 미군정 책임 규명 등이 한 목소리로 촉구되고 있다.   

2일 주정공장수용소 4.3역사관 야외광장에서 열린 제주4.3행방불명희생자 위령제
2일 주정공장수용소 4.3역사관 야외광장에서 열린 제주4.3행방불명희생자 위령제

한편, 추념식을 앞두고 2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제주항 연안여객터미널 주정공장수용소 4.3역사관 야외공원에서는 4.3행방불명희생자들의 넋을 달래기 위한 위령제가 엄수됐다. 

주정공장 터는 4.3 당시 많은 희생자들이 수용됐던 곳으로, 이들 중 상당수는 바다에 수장되거나 어딘가로 끌려가 죽임을 당했다.  

지난 1일에는 제주시 신산공원 내 4.3해원방사탑에서 4.3의 완전한 해결을 기원하는 제77주년 4.3해원방사탑제가 봉행됐다.  <헤드라인제주>

1일 오전 열린 제77주년 제주4.3해원방사탑제. ⓒ헤드라인제주
1일 오전 열린 제77주년 제주4.3해원방사탑제. ⓒ헤드라인제주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