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추진 기간은 1월부터 4월까지이며, 간벌대상은 밀식 감귤원중 1/2간벌이 필요한 감귤원이 대상이 된다.
도 전체 밀식원 1/2간벌 추진계획은 600㏊(제주시 230㏊, 서귀포시 370㏊)로 여기에 투자되는 사업비는 600백만원(보조 300, 자담 300)이며, 지원단가는 ㏊당 1,000천원(보조 500, 자담 500)이다.
지원조건은 1/2간벌이 원칙이며 줄단위 간벌인 경우는 인정하되 솎음(점)간벌은 지원에서 제외된다. 간벌 실시면적 산정은 1/2간벌은 정상과원의 전체면적을 적용하고, 1/3간벌은 과원면적의 67%, 1/4간벌은 과원면적의 50%를 적용 지원하게 된다.
간벌신청은 1월 31일까지 농 ․ 감협 조합원은 지역 농 ․ 감협에 신청하면 되고, 비조합원(법인포함)은 토지 소재지 읍면동에 신청하면 된다.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토양피복 재배, 높은이랑 재배, 방풍수 정비, 배수시설 등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으나 이들 방법중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방법은 1/2간벌이라 할 수 있다.
아무리 재배기술이 뛰어난 농가라 해도 밀식된 감귤원 상태에서는 투광, 통풍, 수분 등 고품질 감귤을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좋지 않아 고품질 감귤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밀식원 1/2간벌 실시 방법은 토양피복, 작업노력의 생력화를 고려하여 열 간벌을 하는 것이 좋으며, 간벌의 방향은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남북 방향으로 하는 것이 좋다.
2010년도에는 감귤의 적정생산 되어 유통처리도 원활히 이루어졌고 , 가격도 제값을 받음으로써 감귤생산 농가들이 다소나마 뿌듯했던 한해가 아니었던가 생각해 본다.
금년도는 감귤 풍작이 예상되어 유통처리 등 어려움도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희망을 가지고 지금부터 정지전정, 간벌, 열매솎기 등 단계별로 철저히 적정생산을 위한 노력들을 아끼지 않는다면 금년도도 감귤의 제값을 받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오태욱 서귀포시 친환경감귤농정과장>
#외부원고인 기고는 헤드라인제주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