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총선 공식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9일 제주지역의 각 정당들도 총력전을 펼치며 부동층 끌어안기에 안간힘을 쏟았다.
제주도내 지역구에 후보를 낸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과 국민의힘 제주도당, 녹색정의당 제주도당은 이날 기자회견 및 서면 자료 등을 통해 호소문을 발표했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선거대책위원회 강창일 총괄선대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운 대한민국과 제주의 미래 여는 날"이라며 "투표로 심판해 정권 폭주를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강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 3년, 대한민국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민생 파탄, 물가 폭등, 경제 폭망으로 살기가 매우 어려워졌다"고 성토했다.
이어 "검찰 독재라고 비판받을 정도로 민주주의는 후퇴했다"며 "대일 굴욕외교로 국민의 자존심과 국격을 떨어뜨렸다, 독도 인근에서 일본해군함정이 훈련하는 것을 보아야 하고, 태평양 바다에 버려진 핵 오염수를 안고 살아야 하게 됐다"고 비판했다.
또 "윤석열 정권은 반민족·반민주·반평화의 3반 정권이고, 무능·무도·무책임의 3무 정권이다. 더 이상 방치했다가는 이 나라가 거덜날 것"이라며 "투표로 심판해 윤석열 정권의 폭주를 막아내고 우리의 미래를 지켜야 한다. 투표로 심판해야 한다. 반드시 투표장에 가셔서 더불어민주당의 승리를 위해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국민의힘 제주도당은 전날 발표한 '도민들께 드리는 호소문'을 통해 "한쪽 날개만으로 날았던 제주의 정치 지형을 바로잡고, 한쪽의 논리와 목소리만으로 왜곡됐던 대의 기능을 바로 잡아달라"며 정치교체를 통해 민주당 20년 독점체제를 바꿔줄 것을 호소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선거는 20년 독점의 고여있는 제주 정치를 교체하고 미래로 나가느냐, 아니면 끊임없는 발목잡기의 입법 독재를 통해서 과거에 머무느냐의 기로에 선 엄중한 선거"라며 "제주지역은 민주당의 오만함처럼 깃발만 꽂으면 당선되는, 특정 정당의 텃밭이 아니다. 20년 동안 제주 민주당의 정치력과 대안부재는 이미 검증이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와 여당을 움직여서 지역의 발전을 모색하고, 지역 국회 의석의 다양성을 도모해서 전략적으로 제주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선택해 달라"며 "수십년의 독점으로 인해서 민심의 소리에 무뎌지고 행동에 굼뜬 제주 정치권이 대오각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달라"고 호소했다.
또 "제2공항의 원활한 추진, 4.3의 완전한 해결, 제주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기 활성화 등 어느 문제 하나도 일당 독주로는 해결하지 못한다"라며 "4월 10일 투표소에서 이번에는 바꾸겠다는 도민 한 분, 한 분의 선택만이 다른 미래, 다른 제주를 약속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녹색정의당 제주도당 김옥임 상임선대본부장도 9일 호소문을 통해 "내 삶을 바꿀 한판승부를 위해 기호 5번에 투표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 본부장은 "녹색정의당은 선거운동기간 많은 도민들을 만나면서 매서운 회초리를 드는 도민들을 많이 만났고, 때로는 애정어린 질책을 하시는 도민들도 만났다"며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 이후 여전히 녹색정의당이 많은 도민들의 선택지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솔직히 인정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진보정치가, 녹색정의당이 많이 부족하지만, 노동자, 농민 등 땀 흘려 일하는 사람들과 사회적 약자 등 이 사회의 차별받는 투명인간들을 위해 일관되게 노력해 왔다는 점은 도민들께서도 인정해 주실 것이라 믿는다"라며 "누구도 들으려 하지 않는 목소리를 누군가는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직도 정치는 가장 고통받는 국민에게 위로가 돼야 함을, 정당은 가난한 이들이 기댈 수 있는 마지막 보루가 돼야 함을 믿는다. 그런 정당으로 다시 시작하려 한다"면서 녹색정의당에 투표해줄 것을 거듭 호소했다. <헤드라인제주>
지금처럼 3인의 국회의원,도지사,도의회 다수당 모두 민주당이 독차지해서는 제주는 결코 발전없다.
윤석열대통령의 민생토론회,한동훈위원장의 제주패씽을 비난만 할게 아니라 왜 그렇게 제주를 홀대하는지에 대한 반성도 필요하다.
훨씬 일찍 확정 발표되었던 제2공항보다도 정부여당은 가덕도 신공항이나 대구 신공항에 더 많이 신경을 쓰고 있다.
왜 그럴까?
정부여당만 비난할게 아니라 반성도 필요하다.
그 반성의 모습을,그 변화된 모습을 제주3곳의 지역구중 단 한곳에서만이라도 국민의 힘에서 국회의원이 나오는 모습을 통해 보여줘야 한다.
여러 정황상으로보면 아마도 그곳은 서귀포시일 것이다.